Surprise Me!

중국 빼고 다 얻어맞았다...트럼프 관세 칼춤에 자동차 업계 '울상' [지금이뉴스] / YTN

2025-08-08 1 Dailymotion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미 118억 달러, 우리 돈으로 16조4천억 원 규모의 손실을 봤으며 손실 규모는 앞으로 더 확대될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도요타가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2분기 영업이익이 30억 달러 감소해 글로벌 주요 자동차 업체 중 가장 큰 규모의 피해를 입었다고 전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폭스바겐의 피해액이 15억천만 달러, GM 11억 달러, 포드 10억 달러, 혼다 8억5천만 달러, BMW 6억 8천만 달러, 현대차 6억 달러, 기아 5억7천만 달러 순이었습니다.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상위 10개 자동차 제조사의 올해 순익은 전년 대비 약 25%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팬데믹 발발 직후인 2020년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자동차 제조사들이 관세에 따른 비용 상승을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하거나 해외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해야 하지만, 단기간에 실현하기는 어렵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지적했습니다.

이는 관세로 인한 자동차 업계의 타격이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실제로 도요타는 내년 3월에 끝나는 이번 회계연도에 관세로 인한 타격이 총 95억 달러(약 13조 원)에 달하고, 연간 순익이 전년 대비 44%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추정했습니다.

투자 은행 제프리스는 제조사들이 가격 인상을 망설이는 배경에 대해 "다른 회사가 움직이기 전에 먼저 움직이려고 서두르는 회사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다들 트럼프 대통령의 소셜 미디어에서 불쾌한 언급을 받는 것을 두려워한다"고 진단했습니다.

공화당이 장악한 미 의회는 캘리포니아주 차량 배출 가스 규제와 휘발유 차량 퇴출 계획을 무산시키는 법안을 통과시켜 제조사들이 관세 타격을 감내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했습니다.

환경 규제 여파로 내연기관차를 생산하는 자동차 업체들은 그동안 전기차(EV) 판매를 확대하거나 테슬라 등 경쟁사로부터 거액을 주고 배출권 규제 크레딧을 구매해야 했습니다.

생산기지의 미국 내 이전도 더디게 이뤄질 가능성이 큽니다.

GM의 경우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위해 40억 달러를 투자해 현재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쉐보레 이쿼녹스와 블레이저를 2027년부터 미국 공장에서 생산할 예정입니다.

전기차 수요 확대가 예상보다 더딘 가운데 GM...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808090812967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